barun-translation-logo

인피니트 마켓

신간 도서-인피니트 마켓
  • 출판사

    페이지2북스

  • 저자

    매슈 와인지얼, 브렌던 로소

  • 번역가

    고영훈

“우주에 장이 섰다.

투자할 것인가, 관망할 것인가”

10년 전 테슬라를, 20년 전 엔비디아를 놓쳤다면

하버드가 조명한 우주 기업에 주목하라!

우주는 더 이상 먼 미래의 탐사 무대가 아니다. 하버드경영대학원에서 우주 경제를 가르쳐 온 경제학자 매슈 와인지얼과 전략가 브렌던 로소는 『인피니트 마켓』에서 우주가 하나의 ‘시장’이 되었음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과거 정부가 계획하고 통제하던 ‘우주’라는 영역에 스페이스X, 블루 오리진, 플래닛, 애스트로스케일 같은 민간 기업이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상업 우주 시대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그 변화가 어떻게 시작됐고 앞으로 어디까지 확장될지를 경제학의 언어로 설명하는 첫 대중서다.

저자들은 지난 20년간 발사 비용이 급락하고 위성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이 단순한 기술 진보가 아니라 시장 메커니즘이 작동하기 시작했다는 신호라고 말한다. 정부가 모든 걸 직접 하는 시스템에서 민간이 뛰어들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으로 바꾸면서, 우주에서는 지금 지구 경제에서 보던 것과 똑같은 수요·공급, 경쟁, 투자, 규제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 책은 이를 “시장 구축 → 시장 정교화 → 시장 조율”이라는 3단계 프레임워크로 정리해, 우주라는 전혀 새로운 공간에서도 경제학의 도구가 유효하다는 걸 설득력 있게 보여 준다.

또한 스페이스X의 재사용 로켓 기술, 플래닛의 위성 이미지 서비스, 애스트로스케일의 우주 폐기물 제거 시스템 등 각 기업의 등장과 핵심 기술, 쇠퇴와 재편의 과정을 경제 논리로 하나씩 해부하여 분석한다. 이후 그 기술로 어떻게 수익을 낼 수 있을지,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하게 만든다. 그래서 이 책은 우주 산업 종사자뿐 아니라, 앞으로 자신의 산업에 우주 기술이 어떤 영향을 줄지 알고 싶은 기업가·투자자·정책 담당자에게도 유효하다.

저자들은 우주가 ‘인류의 마지막 경제 프런티어’가 될 수 있는 동시에, 잘못 설계하면 성장 자체가 막힐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지금 우리가 어떤 규칙을 만들고 어떤 역할을 택하느냐에 따라 우주 시장이 일부의 전유물이 될지, 모든 산업이 공유하는 새로운 성장 엔진이 될지 결정된다는 것이다. 우주를 향한 도전은 결국 인간이 시장을 확장하는 또 하나의 방식이다. 『인피니트 마켓』은 그 거대한 확장을 이해하기 위한 단 하나의 필독서이다.

<출판사 서평>

★ 〈언더스탠딩〉 금융전문가 김학주 / 〈세상학개론〉 한정수 강력 추천

★ 아마존 비즈니스, 우주 부문 베스트셀러

★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연구 & 강의 기반 도서

★ 《월스트리트 저널》, MIT 항공우주학과장 추천 도서

“우주선을 띄운 건 과학이지만, 우주를 굴리는 건 경제다”

수요와 공급, 투자와 회수, 독점과 경쟁. 우주를 움직이는 자본의 논리

우주는 과학의 영역에서 시작되었지만, 지금 그 궤도를 바꾸는 힘은 자본과 시장이다. 이 책은 로켓의 추진력보다 더 거대한 동력으로 ‘시장 원리’를 지목한다. 스페이스X와 블루 오리진이 정부의 영역이던 발사 서비스를 상업화하고, 플래닛과 애스트로스케일이 위성과 우주 쓰레기를 ‘상품’으로 바꾸면서 우주에는 이미 수요와 공급, 투자와 회수, 독점과 경쟁의 원리가 뚜렷하게 작동하고 있다.

하버드경영대학원 교수 매슈 와인지얼과 브렌던 로소는 이 복잡한 시장의 움직임을 경제학의 언어로 정리한다. 구축, 정교화, 조율 3단계 프레임워크로 우주 산업이 어떻게 하나의 완전한 경제 생태계로 변모하는지를 순차적으로 보여 주며, 우주를 미래 사업이 아닌 지금 당장 이해해야 할 현실의 산업으로 끌어올린다. 그 결과 우주는 더 이상 국가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투자자·기업가·정부가 함께 만들어 가는 글로벌 비즈니스의 장이 된다.

저자들은 묻는다. “당신은 이 시장의 단순한 소비자로 남을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참여자가 될 것인가?” 우주 경제는 이미 시작되었고, 선택의 시간은 길지 않다. 지금 결정하는 이들만이 앞으로 수십 년간, 지구 밖에서 돌아가는 자본의 방향을 정하게 될 것이다.

“진짜 부자들은 돈을 금고가 아닌 우주로 보낸다”

300km 상공에서 자본주의의 새 법칙이 쓰인다

지금 세계의 돈은 위로 흐르고 있다. 테슬라·엔비디아 이후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다음 프런티어는 바로 ‘우주’다. 발사 비용이 20분의 1로 낮아지고 위성 수가 10배로 늘어나자, 기업은 더 이상 로켓만 쏘는 게 아니라 우주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 시작했다. 스타링크의 인터넷 네트워크, 우주 정거장에서의 소재 연구, 궤도상 제조와 데이터 비즈니스까지, 우주는 이제 실물 경제의 연장선이다.

저자들은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강의실에서 다뤘던 실제 기업과 정책, 투자 사례를 통해 새로운 자본의 흐름을 추적한다. 그들은 말한다. “지구 경제를 이해하는 데 쓰였던 경제학적 분석 도구들을 통해 우주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더 명확히 바라볼 수 있다.”

이 책은 정부 예산과 민간 자금, 기술 혁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우주 산업의 진짜 성장 엔진이 무엇인지를 냉정하게 보여 준다. ‘진짜 부자들은 돈을 금고가 아닌 우주로 보낸다’는 말은 비유가 아니다. 데이터, 통신, 안보, 탐사 등 모든 산업의 인프라가 지구 밖 궤도에서 돌아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지금 우주는 단순한 꿈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새로운 실험장이다. 이 책은 그 실험의 설계도이자, 그 안에서 기회를 포착할 이들을 위한 전략서가 되어 줄 것이다.

목록
logo
  • 서울시 마포구 어울마당로 26 제일빌딩 5층 (당인동 12-1))/ 문의 02-338-2180
  • 번역문의 book@barunmc.com

COPYRIGHT © 2018 BARUN MEDIA CO.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