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마음
우츠키 겐타로
이유라
전생에 나쓰메 소세키와 함께 살았던 검은 고양이,
이번 생은 북두당의 책방지기로 환생했다?!
작가의 고양이와 창작의 업이 얽히고설킨
신비한 서점 판타지소설 출간
2024 일본 판타지소설 대상 수상작이자 서울국제도서전(2024)에 소개되어 주목을 받았던 《고양이서점 북두당(猫と罰)》이 드디어 한국에서 출간되었다. 이 소설은 나쓰메 소세키의 고양이가 환생해 고서점의 책방지기로 다시 태어난다는 기발한 상상력에서 출발해, 문학과 생명, 창작과 기억이라는 깊이 있는 주제를 따뜻한 서술로 풀어내며, 고양이 환생 판타지의 틀을 넘어선 문학적 기담으로 독자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주인공 쿠로는 나쓰메 소세키의 대표작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에 등장했던 이름 없는 고양이의 환생이라는 독창적 연결고리를 지닌다. 에도 시대 대기근을 시작으로, 메이지와 다이쇼, 쇼와 시대를 거쳐 여덟 번의 삶과 죽음을 반복해온 고양이 쿠로는, 인간과 세상에 대한 깊은 불신과 상처를 안은 채 어느 날 고서점 북두당에 이끌리듯 도착한다. 북두당은 손님이 책을 사가면 저절로 재고가 채워지는 신비한 서점이자, 점주 기타호시 에리카가 네 마리의 고양이와 함께 사는 유토피아인 동시에 감옥과도 같은 주술적 공간이기도 하다.
서점의 다섯 번째 거주묘(居住猫)로 눌러앉은 쿠로는 그곳에서 작가를 꿈꾸는 열 살 소녀 마도카를 만나고, 그 아이의 순수한 모습에서 그리운 주인 소세키의 모습을 발견한다. 그리고 다시 묻기 시작한다.
“이야기란 무엇인가. 진명(真名)을 가진다는 건 어떤 의미인가.”
《고양이서점 북두당》은 단순한 환생 판타지에 머물지 않는다. 수상한 서점 북두당의 책방지기로 살아가게 된 쿠로는, 어느 날 자신이 지금까지 경험한 부조리한 고양이의 삶과 문학, 창작, 인간과의 관계를 다시 마주하게 된다. 생명의 경시, 폭력, 창작의 고독함과 구원, 존재의 이름을 갖는다는 것의 의미까지… 무게 있는 주제를 탁월한 상상력과 포근한 서술로 녹여내며, 고양이의 삶을 통해 “왜 글을 쓰는가”에 대한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 선정 및 수상내역
2024 일본 판타지소설 대상
<출판사 서평>
일본 판타지소설 대상 2024 수상작
『고양이서점 북두당』국내 출간!
이야기를 잃어버린 시대,
쓰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인간,
그 곁을 묵묵히 지켜주는 고양이
이 소설은 그 너그러움에 바치는 작은 헌사!
《고양이서점 북두당》의 또 다른 매력은 고양이를 사랑한 문호들에 대한 섬세한 문학적 오마주에 있다. 작품 곳곳에는 나쓰메 소세키를 비롯해 이케나미 쇼타로, 이나가키 타루호 등 고양이를 사랑한 일본의 근현대 작가들이 스치듯 등장하며, 창작과 기억 그리고 이야기의 힘에 조용한 경의를 바친다. 그리고 마침내, 주인공 쿠로는 꿈과 현실, 생과 사, 과거와 현재가 뒤섞인 수수께끼의 심연에서 누구도 예상치 못한 존재와 마주하게 된다. 이야기는 어느 순간, 상상의 경계를 훌쩍 뛰어넘어 한 편의 문학적 대서사로 확장된다. 이 작품을 두고 문예 평론가 히가시 마사오는 이렇게 평했다.
“끝없이 변주되고 다시 태어나는 이야기의 힘에 매혹된 이들에게,
작가가 진심을 다해 건네는 깊은 공감의 서사를 제공하는 소설.
단언컨대, 지금껏 ‘일본 판타지소설 대상’이라는 이름에 이토록 잘 어울리는 작품은 없었다.”
- 히가시 마사오 (문예 평론가, 앤솔로지스트)
《고양이서점 북두당》은 책과 고양이를 사랑하는 독자라면 누구나 공감할 이야기의 마법이 전생에 작가와 함께 살았던 고양이의 시선을 통해 되살아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소설은 고양이와 책을 사랑하는 독자뿐 아니라, 글을 쓰는 고통과 아름다움을 아는 모든 창작자들, 그리고 그 곁에서 말없이 삶을 함께해준 고양이들에게 바치는 조용한 헌사이자 깊은 위로가 담긴 이야기다.
COPYRIGHT © 2018 BARUN MEDIA CO.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