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un-translation-logo

폭력의 유산

신간 도서-폭력의 유산
  • 출판사

    상상스퀘어

  • 저자

    캐럴라인 엘킨스

  • 번역가

    김현정

오늘날 세계는 어떻게 분열되었는가?

문명화 사명부터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까지,

퓰리처상 수상 작가가 들려주는 잔혹한 폭력의 역사

⟪폭력의 유산⟫은 영국의 제국사를 낱낱이 파헤침으로써, 폭력이 제국주의의 ‘수단’이 아니라 ‘제국주의 그 자체’였음을 생생하게 고발하는 책이다. 하버드대학교 교수이자 퓰리처상 수상 작가인 저자 캐럴라인 엘킨스는 이 책을 통해 피로 얼룩진 영제국의 ‘진짜 역사’를 독자들 앞에 모두 까발렸다. 수백 건의 기록과 생생한 증언을 바탕으로, 영국이 자행한 국가적인 폭력의 실체들을 폭로한 것이다. 더불어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 이란과의 갈등, 인도와 파키스탄의 충돌까지, 이 모든 대립의 불씨가 사실상 ‘영제국’에서 날아왔음도 외면하지 않고 이야기한다. 이에 독자들은 오늘날의 국제 정세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알아야 할 영국의 제국사를 가감 없이 파악할 수 있다. ‘해가 지지 않는 나라’ 영제국의 탄생부터 몰락까지를 인물과 사건 중심으로 명료하게 풀어낸 이 책을 통해 오늘날까지 세계를 비탄에 잠기게 만드는 제국주의의 뿌리를 직시해보자.

<출판사 서평>

★퓰리처상 수상 작가 캐럴라인 엘킨스 신작

★베일리 기포드상 최종 후보작

★⟨BBC 히스토리 매거진⟩ ⟨뉴 스테이츠맨⟩ ⟨히스토리 투데이⟩ 올해의 책

★역사학자 김재원, 심용환 추천

퓰리처상 수상 작가가 집대성한 제국주의 폭력의 모든 것!

오늘날 국제 정세의 뿌리를 이해하는 최고의 책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이 시작된 후, 뉴스에서는 하루가 멀다 하고 가자지구의 참상이 전해졌다. 이스라엘의 폭격으로 무고한 시민들이 목숨을 잃었고, 아이들은 무너진 건물 아래서 울부짖었다. 부모들은 혹시나 아이의 시신을 찾지 못할까 봐 살아 있을 때 몸에 이름을 새겨 넣기도 했다. 한편, 하마스는 어린이를 비롯한 수많은 민간인을 납치하고 살해하며 이스라엘을 위협했다. 이처럼 끔찍한 전쟁이 일어난 원인은 과연 무엇일까?

저자 캐럴라인 엘킨스는 ⟪폭력의 유산⟫을 통해 그 답이 ‘20세기 초, 영국 제국주의가 팔레스타인 땅에서 벌인 이중적 정책’에 있다고 이야기한다. 1차 세계대전 직후, 영국이 팔레스타인 땅을 두고 아랍인과 유대인에게 ‘각자의 독립 국가’라는 모순된 약속을 했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첫 저서인 ⟪제국의 심판(Imperial Reckoning)⟫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하기도 한 저자는 이번 책 ⟪폭력의 유산⟫에서도 전작과 마찬가지로 아주 오랫동안 조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영국이 시온주의자와 이슬람 세력을 교묘히 이간질하며, 오직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만 몰두했음을 지적한다. 이 같은 영국의 행보로 두 세력 사이에는 증오와 분노가 싹텄고, 그 불씨는 오늘날의 참혹한 전쟁으로 이어졌다. ⟪폭력의 유산⟫은 이처럼 세계 곳곳에 숨겨진 ‘영국의 발자국’을 추적하며, “오늘날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분쟁의 씨앗은 어떻게 뿌려졌을까?”라는 질문에 답한다.

영국이 증오의 씨앗을 뿌린 것이 이스라엘과 하마스뿐만은 아니다. 영국은 ‘문명화 사명’이라는 기치 아래 18세기부터 인도와 파키스탄, 이란과 중동은 물론 아프리카, 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나라에 제국주의적인 폭력을 휘둘렀다. 폭력과 착취, 차별 모두 ‘법’이라는 이름으로 정당화되었고, 제국 전역은 끝내 ‘합법화된 불법’에 지배당하게 되었다. 저자는 긴 시간 동안 모으고 추린 온갖 기록들을 기반으로, 영제국의 피해자인 수많은 사람을 직접 인터뷰하며 이 사실을 입증한다. 엄청난 양의 주석과 참고문헌은 이 책을 완성하기까지 저자가 지녔을 문제의식과 집념을 짐작게 한다.

책 속에는 저자인 캐럴라인 엘킨스가 역사적 은폐와 국가 폭력에 맞선 학문적 내부고발자이자 증언자로서, 마우마우 사건의 실체를 세상에 알리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과정도 담담하게 서술되어 있다. 이 같은 노력 덕분에 ⟪폭력의 유산⟫은 2022년 ⟨뉴욕 타임스⟩의 ‘주목할 만한 100권의 책’, ⟨BBC 히스토리 매거진⟩, ⟨뉴 스테이츠맨⟩, ⟨히스토리 투데이⟩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저자의 문제의식을 오독 없이 전달하기 위해 이 책의 감수를 맡았으며, tvN ⟨벌거벗은 세계사⟩, KBS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등 여러 역사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역사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경북대학교 사학과 윤영휘 교수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폭력의 유산⟫은 영제국에 대한 막연한 환상을 거두어내는 작업이다. 사실 이는 진실을 덮고 있는 거품을 거두어내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이 ‘해가 지지 않던 나라’의 그늘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의 인권이 유린당하고, 생명이 학살당했는지 역사의 단면을 드러내는 시도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저자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증거를 발굴하고 그것이 말해주는 사실을 나열한다. 이 책에서 드러나는 영제국의 이면은 그 무게에 어깨가 짓눌릴 정도로 충격적이다.”

⟪폭력의 유산⟫ 속 영제국의 몰락 과정을 들여다보면, 식민 지배가 근대국가 형성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제국주의가 식민지 사회에 어떤 장기적 후유증을 남겼는지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객관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 20세기 초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 지배를 경험했을 때, 우리 민족이 경험했듯이 말이다.

제국주의가 남기고 간 상처는 오늘날까지도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구조에까지 심층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폭력의 유산⟫은 과거를 직시하고, 오늘을 이해하며, 다가올 세계를 고민하게 만들며 사실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통찰을 제공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과거의 잿더미 위에서 새로운 미래를 고민하는 우리 모두에게 믿음직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목록
logo
  • 서울시 마포구 어울마당로 26 제일빌딩 5층 (당인동 12-1))/ 문의 02-338-2180
  • 번역문의 book@barunmc.com

COPYRIGHT © 2018 BARUN MEDIA CO.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