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숲
저드슨 브루어
김보은
★ 정희원(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 최겸(다이어트 과학자) 강력 추천
★ 전 세계 10개국 출간 계약 완료, 아마존 평점 4.5!
뭔가 자꾸 먹고 싶을 때, 이 책을 펼쳐라!
살찌지 않는 뇌를 만드는 식습관 혁명
***당신의 ‘식습관’은 어떻습니까?***
□ 화가 나거나 스트레스 받으면 뭔가 먹고 싶다.
□ ‘빵 배’ ‘밥 배’가 따로 있다고 생각한다.
□ 과자 봉지가 보이는 순간, 손부터 향한다.
□ 한번 먹으면 멈출 수가 없어서 끝장을 본다.
□ ‘또 왜 먹었을까? 왜 못 참았지?’ 자책한 적 있다.
한 개라도 체크했다면, 이제는 ‘식탐 해방’ 할 때다!
정신이 아득할 정도로 단짠단짠한 음식들이 우리를 유혹하고, 손가락 한 번 달칵하면 24시간 원하는 음식이 눈앞에 펼쳐지는 풍요의 시대다. 배고프지 않은 데도 뭔가가 먹고 싶고 이미 배부른 데도 습관적으로 군것질을 하면서 ‘딱 오늘까지…’라며 내일이면 무너질 결심을 한다. 과연 ‘식탐’ 문제로 고생해본 적 없는 현대인이 있을까. 거듭되는 실패에 마침표를 찍을, 궁극의 비법은 없는 걸까.
“식탐의 악순환을 끊어내는 효과적인 길을 제시”하는 《식탐 해방》이 도서출판 푸른숲에서 출간되었다. 세계 최고의 중독 심리학자이자 신경과학자인 저드슨 브루어 박사는 이 책에서 ‘식탐’이 정서적 허기에서 비롯된 중독적인 ‘습관’이라고 단언한다. 저자는 최신 뇌과학·신경과학·심리학적 이론과 풍부한 임상 사례를 통해 ‘식탐 습관’을 끊으려면 우리 뇌가 움직이는 작동법과 식습관 패턴을 이해하고, 몸이 보내는 신호에 귀 기울일 줄 알아야 한다고 명쾌하게 진단한다. 나아가 ‘먹지 않겠다’는 의지에 의존하는 단기적이고 지속 불가한 기존의 다이어트법 대신 실용적인 마음챙김에 기반한 근본적이고 지속 가능한 여러 전략을 ‘21일 도전’ 프로그램을 통해 알려준다. 이로써 우리는 해로운 습관을 끊는 데서 그치지 않고 보다 건강한 습관을 시작하는 길을 발견할 수 있다.
‘먹고 자책하고 또 먹는’ 사이클에서 이제는 벗어나고 싶다면 이 책에서 건져갈 해답이 많을 것이다. 자신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원하던 삶을 만들고 싶다면 반드시 읽어야 할 단 한 권의 책이다.
<출판사 서평>
“살다 보면 모든 일에 100점 받는 일보다
80점만 맞아도 될 일이 더 많습니다”
과하지도 부족하지도 않게
적당히 잘 사는 ‘느슨한 인생 미학’
엄격하게 나를 통제해야만 세상이 원하는 기준과 시대의 속도에 맞출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점점 체력이 달리는 것 같고, 열정도 사그라드는 것을 느낄 때가 있다. 더 큰 고민은 이렇게 계속 몸과 마음이 소진되면서도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와다 히데키 교수를 찾아온 수많은 사람의 고민이기도 했다. 이들을 위해 그는 30년 넘는 연구와 상담 경험을 통해 알아낸 ‘잘 사는 어른’의 비결, ‘느슨함’을 강조한다. “일이든 뭐든 모든 것에 100퍼센트의 힘을 쏟으면 몸과 마음이 망가집니다. 자신을 괴롭히지 않으면서 나를 더 이상 낭비하지 않으려면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대처하는 ‘느슨함’을 길러야 합니다.”
《어른의 느슨함》에는 와다 히데키 교수가 우울증 환자를 관찰하고 돌보는 내용이 나온다. 그의 말에 따르면 ‘나는 이렇게 살아야지’, ‘그렇게 살면 안 돼’라는 기준을 엄격하게 가진 채 마음의 여백 하나 없이 사는 사람들이 쉽게 우울증에 걸렸다. 성실하게 최선을 다하는 태도는 살면서 갖춰야 할 덕목이지만, 너무 지나친 성실함이 때로는 내 몸과 마음을 소진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마음에 여유를 가질 수 있을까? 와다 히데키 교수는 이렇게 조언한다. “모든 일에 100점 만점을 받기 위해 사소한 것까지 신경 쓰기보다, 적당히 넘어갈 수 있는 80점만 맞아도 괜찮다는 자세로 살면 인생이 한결 가벼워질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치열하고 성실하게 살아온 독자들에게 ‘지금까지 열심히 살아왔으니, 이제부터는 적당히 살아도 괜찮다’는 저자의 다정한 조언은 앞만 보며 달려왔던 우리의 마음에 작은 여유를 선사할 것이다.
몸과 마음을 원하지 않는 데에 소진하지 않는
‘지혜로운 어른’으로 성장하는 방법
가끔은 자유롭게 사회적 기준이나 심리적 속박에서 벗어나 진짜 나다운 인생을 즐기려면 평소에 항상 느슨하고 대범하게 생활하며, 필요할 때만 정신을 바짝 차리는 완급 조절이 필요하다. 하지만 매사를 승부로 여기며 살아야 하는 한국과 일본 사람들은 늘 강한 책임감에 압도당하며 긴장 상태로 하루를 보내는 사람들이 많다. ‘이렇게 힘들게 사는 게 정말 괜찮을까?’ 살면서 한 번쯤 고민하게 되는 일상의 문제에 명쾌하고 실용적인 답변을 제시한다.
“힘을 뺄수록 인생은 더 부드러워집니다”, “나이가 들면 치매보다 우울증이 더 위험합니다”, “신경 써야 할 것은 남 눈치가 아니라 내 마음입니다”, “체면 차리다가 돌아오는 건 손해밖에 없습니다”, “유연한 사람이 사기도 잘 안 당합니다” 추상적이고 뻔하지 않은 말이 아니라, 현실적이고 생생한 조언으로 가득한 이 책은 잃어버린 인생의 활기를 되찾아주고, 내 몸과 마음의 에너지를 오롯이 나에게 집중하는 지혜를 알려줄 것이다.
COPYRIGHT © 2018 BARUN MEDIA CO. LTD. ALL RIGHTS RESERVED